Load

Load

> 내과건강검진센터 > 예방접종

예방접종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전염성 질환의 원인체(항원)를 접종하여 질병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100세 시대에 예방접종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독감(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주로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유행하는 감염병으로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다는 것이 감기와 유사하지만 두통, 근육통, 복통 등 전신 증상까지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독감 유행 4주 전(10월~11월),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전 연령층
  • 접종 횟수 : 연 1회 접종(매년)

대상포진

“신경에 바이러스가 침투한 신경병”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통해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을 낮추고 설사 걸렸다 하더라도 병의 진행과 통증을 크게 감소시켜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미 걸린 분들도 재발을 막기 위해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미국 FDA 에서는 50세 이상인 분들에게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만50세 이상(대상포진 질환 치료 후 1년 이상 간격)
  • 접종 횟수 : 스카이조스터/조스타박스 1회 접종, 싱그릭스 2회 접종

자궁경부암

“자궁과 질이 만나는 부위인 자궁경부에 생기는 악성종양”

성접촉을 통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대표적인 발병 원인으로 전 세계 여성 암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발병률이 높지만 암 중에서 유일하게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자궁경부암 외에 질암, 외음부암, 항문암까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만 9~26세 남녀 모두(성 접촉이 있기 전인 13세 이전 접종 권장)
  • 접종 횟수 : 만 9세~14세는 2회 접종(0, 6개월)/ 만 15세부터는 3회 접종(0, 2, 6개월)

주의사항

  • 몸의 컨디션이 좋은 날이나 낮 시간을 이용해 예방접종을 합니다.
  • 이전의 백신 접종 후 또는 백신 성분에 대한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경우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급성 중증 열성 질환을 앓을 경우 증상이 회복될 때까지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접종 후 20~30분 동안 접종기관에 머물며 이상 반응이 있는지 확인 후 귀가하도록 합니다.

폐렴구균

“급성 중이염, 폐렴, 패혈증, 뇌수막염 등의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주로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기침, 재채기로 전파되며 감염 후 1~3개월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과 함께 가래, 기침, 흉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만 65세 이상 고령자/ 만성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한 중년층
  • 접종 횟수 : 13가, 23가 1회씩 순차접종

주의사항

  • 잠을 못 잤거나 무리한 활동으로 피곤하거나, 두통, 근육통, 열감, 기침, 오한이 있으면 맞지 않도록 합니다.
  • 다른 예방 접종과 기간을 두고 맞도록 합니다.
  • 접종 후 20~30분 동안 접종기관에 머물며 이상반응이 있는지 확인 후 귀가하도록 합니다.
  • 접종 일 포함 최소 3일은 무리하게 몸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A형간염

“A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질환”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감염자의 배설물을 통해 감염되거나 감염자와의 신체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공중위생 상태가 나쁜 지역의 위생에 따라 유병률이 달라집니다. 바이러스 감염 후 약 4주의 잠복기를 거친 뒤 증상이 급격하게 발생합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만 19~39세 성인(항체 검사 결과 음성일 경우)
    A형간염 환자 발생비율이 높은 국가로 여행하는 경우
  • 접종 횟수 : 2회 접종(0,6~12개월)

A형간염
예방수칙

  • 20~40대 예방접종 받기
  •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한 물 마시기
  • 최근 2주 이내 A형 간염 환자와 접촉 시 예방 접종 받기
  • 요리전, 식사전, 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B형간염

“B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B형 간염은 급성/만성으로 구분되며 급성 B형 간염은 치료 없이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나 만성 간염은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율이 높아 백신 접종이 적극 권장됩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만 19~39세 성인(항체 검사 결과 음성일 경우)
    B형 간염 항체와 항원이 없는 모든 사람들
  • 접종 횟수 : 3회 접종(0,1,6개월)

주의사항

  • 감기와 같은 가벼운 질환은 접종 가능하지만 중증의 질환이 있다면 몸 상태 회복 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전 B형 간염 백신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비만치료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

만 12세 이상 환자의 체중관리를 위해 건강한 영양상태 유지 및 신체 활동 증대의 보조제로서 투여할 수 있습니다.

접종 정보

  • 접종 시기와 대상 : 체질량지수(BMI)가 30 kg/m2 이상인 비만 환자
  • 접종 횟수 : 1일 1회